대선이 끝나고 후보들에게 지급되는 ‘선거비용 보전금’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문수 후보는 무려 1,155억 원을 돌려받지만, 20대 남성의 몰표를 받은 이준석 후보는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되었는데요.
왜 이런 차이가 생긴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선거비용 보전 제도와 이준석 후보가 ‘0원’ 처리된 이유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득표율 따라 갈리는 ‘선거비용 보전’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의 최종 득표율에 따라 선거비용을 보전해줍니다.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5% 이상: 선거비용 전액 보전
- 10% 이상 ~ 15% 미만: 절반 보전
- 10% 미만: 보전 없음
즉, 최소 10% 이상의 득표율이 있어야 일부라도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이재명·김문수는 전액 보전, 그 금액은?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49.42%, 김문수 후보는 **41.15%**를 기록하며 두 후보 모두 전액 보전 대상이 되었습니다.
- 이재명 캠프는 선거비용 마련을 위해 후원금 + 은행 대출을 활용
- 김문수 후보는 '문수대통펀드'로 약 250억 원 모금
- 이들이 보전받은 총액은 무려 1,155억 원
🚫 이준석, ‘이대남 몰표’에도 10% 벽 못 넘었다
반면 이준석 후보는 전체 득표율 **8.34%**로, 선거비용 보전 기준을 넘지 못했습니다.
특히 20대 남성층에서 37.2%라는 압도적 지지를 받았지만, 전체 유권자 대상에서 득표율이 낮아 약 30억 원의 선거비용을 고스란히 자비로 부담하게 됐습니다.
📉 단일화 거부의 후폭풍?
이준석 후보는 선거 막판까지 김문수와의 단일화를 거부하며 강한 독자 노선을 고수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전체 표심을 넓히지 못했고, **“강한 지지층은 있었지만 범국민 지지는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결론: 선거는 ‘지지도’와 ‘전략’의 게임
이 사례는 정치적 지지와 선거 전략이 실제 재정적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한쪽은 수백억 원을 보전받고, 다른 한쪽은 ‘0원’의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는 현실.
앞으로의 선거에서는 단순한 지지율보다 ‘득표율 계산’과 ‘세력 확장 전략’이 핵심이라는 교훈을 남깁니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 전 대통령, 특검 첫 대면조사 시작…체포 저지·비화폰 삭제 지시 여부 쟁점 (0) | 2025.06.28 |
---|---|
검사만 120명,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 한다 (3) | 2025.06.06 |
오늘부터 이틀간 사전투표…거주지 상관없이 투표 (0) | 2025.05.29 |
이재명 "내란 진압"·김문수 "방탄독재 저지"·이준석 "정치교체" (1) | 2025.05.28 |
“어차피 정해진 거 뭐하러 투표해요”...민심 무너진 이 나라에 무슨 일이 (1) | 2025.05.27 |